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경제

<부모 클래스> 자기 힘으로 해내는 아이를 만드는 공식/ 초등 교사 윤지영 정리 -아이의 공부 습관, 자존감 키우는 법

by make it happen- 2022. 8. 19.
반응형

아이의 공부습관, 자존감 키우는 법

 

EBS <부모 클래스> 자기 힘으로 해내는 아이를 만드는 공식 정리

 

아이들은 믿어주는 걸 원합니다. 학교에 가면 항상 모범생이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에겐 믿어 주는 것이 절실하지 않습니다. 부모가 이미 믿어주고, 학원 선생님도, 학교 선생님도, 하다못해 친구의 엄마까지도 모두가 자기를 믿어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믿음이 절실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부모조차도 믿어주지 않는 아이들. 이런 아이들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못마땅하게 여깁니다. 자기 자신이 만족스럽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것입니다. 이럴 때가 바로 믿어주는 것의 골든 타임입니다. 부모부터 아이를 믿어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관성은 노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아무리 놀아도 하루 종일 놀아도 부족합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공부하는 것도 싫어하지만 공부를 하는 것도 싫어합니다. 아이도 할 일을 끝내고 놀 때 스스로 만족스럽습니다. 공부습관은 저절로 잡히지 않습니다. 공부습관은 인정을 먹고 자랍니다. 특히, 시작이 어렵습니다. 책상에 앉으려고 하면 물먹고 오고, 화장실이 다녀오고 싶어 집니다. 일단 시작은 했다면 또 끝까지 하는 게 어렵습니다. 적은 양임에도 불구하고 학습량이 많다고 협상을 원합니다. 처음에는 공부하는 척하는 시늉만 하고 완성도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모가 볼 때는 이런 모습이 한참 부족하고 또 폭풍 잔소리를 하고 싶어 지겠지만, 이럴 때 꼭 공부하려고 시도한 그 자체에 대해서 칭찬을 해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공부를 가르쳐 줄 때 절대 화내면 안 됩니다. 강연자 본인도 아이에게 공부를 가르쳐 줄 때 화내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아이가 엄마는 공부할 때 화를 내지만 선생님은 화를 안 낸다고 하여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하는 말을 다시 되새겨 보니 윽박지르거나 화만 안 낼뿐 칭찬하는 소리는 하나도 없고 폭풍 잔소리에 가까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에게 사과하고, 그 뒤로 아이가 공부할 때 세 걸음 뒤로 떨어져서 숙제를 다했다고 하면 바로 잘했다며 가방에 넣으라고 했다고 합니다.

공부 습관 들이기 시작할 때 주의할 점

 

  1. 시도에 대해서 긍정적을 말해줍니다. "책상에 앉았네, 맘먹고 하려고 하네 잘했다"라고 칭찬합니다.
  2. 완수에 대해서 칭찬합니다. "숙제부터 끝냈네 참 좋은 태도야."라고 칭찬한다. 공부 습관이 잘 되면 그때 완성도에 대해 이야기해도 늦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걷기 시작한 아이에게 걸음을 지적하지 않듯 말이죠.
  3. 아이가 공부할 때 세 걸음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잔소리 하지 않도록 말입니다.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띄어쓰기를 잘합니다. 그래서 띄어쓰기는 좀 일찍부터 잡아주어도 좋습니다. "글씨 예쁘게 써 다시써. "와 같은 충고는 굉장히 주관적이고 모호한 지시입니다. 자음보다 모음을 쓸 때 주로 문제가 발생하는데 자음의 길이보다 모음의 길이가 더 길게 써야 합니다. 그런 식으로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의 역할은 영유아기 때와 초등학교 시기가 다릅니다. 영유아기 때는 부모가 해결사가 되어야 하지만, 초등학령기가 되면 해결사에서 격려자가 되어야 합니다. 믿어주고 응원해주고 한 걸음 물러서야 합니다. 만약에 초등학생이 됐는데도 부모가 해결사라면?  이른바 '헬리콥터 맘', '잔디깎이 맘'이 되는 것입니다. 해결사 부모의 짝꿍은 의존적인 아이입니다. 아이가 "엄마가 친구 엄마에게 전화해줘요."라는 말밖에 할 수 없습니다. 결국 아이 본인이 해결 능력을 죽이는 셈입니다.

격려자 부모가 되자


부모가 격려해준다면? 격려자 부모의 짝꿍은 자기 힘으로 해내는 아이입니다. 친구들과의 놀림본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줍니다. 놀리는 친구에게 '너 그렇게 말하지 말라'라고 가르치세요. 해결사 엄마나 격려자 엄마나 사랑하는 건 똑같습니다. 그런데 왜 대신해주려고 할까요, 왜 개입하려고 할까요? 바로 애가 미숙하니까 불안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겪을 시행착오를 지켜보는 것이 부모에게 고통이고 불안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불안을 이기는 엄마가 아이의 자존감을 키웁니다. 불안을 이기는 힘은 부모의 믿음입니다. 믿어주는 만큼 자녀의 자존감이 자랍니다.

 

강연을 보고 느낀점

 

강연을 보고 저는 한편으로는 잘하고 있다고 느끼면서도 배우는 것이 많았습니다. 저도 아이가 스스로 숙제하게 만들고 세 걸음 떨어져서 보고 결과에 대해 만점을 맞았다며 칭찬해주기보다는 공부하려고 열심히 집중하고 노력한 것에 대해서 잘했다고 칭찬해줍니다. 아이들이 과연 제 노력을 알지는 모르겠지만 제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아이들을 지도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항상 엄마 말을 잘 듣진 않습니다. 며칠 연달아 숙제를 하기 싫어할 때는 며칠간 참다 참다 결국 안 좋은 소리가 나가게 되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어리다 보니 '그러면 길거리에서 자는 사람처럼 된다'며 협박성 발언을 일삼게 됩니다. 스스로 학습할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참 쉽지가 않습니다. 

 

또한 아이의 자립심을 키워주기 위해 요즘 아이들이 매번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엄마를 찾아올 때마다 반대로 저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될까? 네가 대답해봐. 이런 식으로 오히려 제가 물어보면 거의 답이 바로 나옵니다. 아이들은 알면서도 엄마를 찾아오네요. 스스로 자기 것을 챙겨서 해결하는 아이로 도와주기 또한 역시 쉽지 않습니다. 모두 하루아침에 될 일은 아닌가 봅니다. 그래도 스스로 하는 것을 싫어했던 우리 둘째 아이가 최근에는 "내가 혼자 해볼게" 이런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항상 "엄마가 해줘" "난 힘들어" 이런 말을 자주 했던 둘째인데, 제가 조금 혼자 하도록 부추기고 칭찬을 해줬더니 자기도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을 조금씩 꺠달았는지 이런 말들을 하더라고요. 며칠 전 그토록 어려워하는 퍼즐이고, 형이 주로 하던 직소퍼즐이라 어른도 좀 어려운 퍼즐이었는데, 혼자 해볼게 엄마는 도와주지 말란 말을 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정말 별 일은 아니었지만 꽤 뿌듯했습니다.  앞으로도 공부하는 엄마가 되어서 아이들을 자기 주도적이고, 목표를 바라볼 줄 아는 아이, 어려운 일도 원하는 일이라면 기필코 해내는 아이로 키우고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